맨위로가기

개구리 다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개구리 다리는 다양한 국가에서 식용으로 사용되는 음식으로, 특히 프랑스, 중국, 인도네시아, 이탈리아 등에서 소비된다. 프랑스에서는 유럽참개구리를, 중국에서는 황소개구리와 논개구리 등을 식용으로 사용하며, 인도네시아에서는 개구리 다리를 이용한 스위키라는 수프가 유명하다. 이탈리아 북부에서도 개구리는 전통적인 식재료로, 리소토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그러나 개구리 다리 소비는 환경 문제, 동물 복지 문제, 건강 문제 등과 관련된 논란을 야기하기도 한다. 종교적으로는 유대교와 이슬람교에서 개구리 섭취에 대한 상반된 입장을 보인다. 한국에서도 과거 개구리를 식용으로 사용한 기록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개구리 관련 문화 - 개구리 케이크
    개구리 케이크는 호주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주의 대표적인 과자이며, 스펀지 케이크, 잼, 크림, 퐁당 아이싱 등을 주재료로 개구리 모양으로 만들어졌고, 밸푸어스 제과점에서 개발되어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주의 상징으로 지정될 만큼 지역 사회의 문화적 상징으로 여겨진다.
  • 사순절 - 양배추말이
    양배추말이는 다진 고기, 견과류, 쌀 등을 양배추 잎이나 포도 잎으로 감싼 요리이며, 지역에 따라 다양한 이름과 조리법으로 굽거나 삶아 소스와 함께 먹는다.
  • 사순절 - 재의 수요일
    재의 수요일은 기독교에서 사순절의 시작을 알리는 날로서, 회개와 속죄를 상징하는 재를 이마에 얹는 의식을 행하며, 초기 교회 관습에서 유래하여 종교 개혁 이후에도 성공회와 루터교에서 유지되고, 한국 교회에서도 금식과 기도 등을 강조한다.
  • 레온도의 문화 - 보텔루
    보텔루는 스페인, 포르투갈 지역에서 생산되는 소시지이며, 특히 포르투갈 비냐이스에서 생산되는 것은 지리적 표시 보호를 받는다.
  • 레온도의 문화 - 치스토라
    치스토라는 돼지고기 또는 돼지고기와 쇠고기를 섞은 다진 고기에 마늘, 소금, 파프리카 등으로 양념하여 얇고 길게 만든 바스크 지방의 소시지로, 구이나 튀김으로 즐겨 먹으며 타파스나 샌드위치 속 재료로도 사용된다.
개구리 다리
개구리 다리
준비된 개구리 다리
준비된 개구리 다리
일반 정보
종류음식
기원프랑스
주요 재료개구리 다리
조리 정보
조리법튀기기, 굽기, 볶기, 굽기
닭고기와 생선의 중간 맛
영양 정보 (생것)
열량73 kcal (305 kJ)
탄수화물0g
지방0.3g
단백질16.4g

2. 세계의 식용 문화

개구리 다리의 주요 수입국은 룩셈부르크, 벨기에, 프랑스 등이며, 주요 수출국은 인도네시아이다.[39] 1990년에 유럽 국가들이 아시아에서 수입한 개구리 다리는 6000ton 이상이다.[39] 인도네시아는 세계 최대의 개구리 고기 수출국으로, 매년 5000ton 이상의 개구리 고기를 프랑스, 벨기에, 룩셈부르크로 수출한다.[32]

2. 1. 프랑스

부르키나파소에서 개구리 다리 요리 준비


개구리 다리(프랑스어: cuisses de grenouille프랑스어, 뀌스 드 그르누이)는 돔브 지역(앵 주)에서 특히 볼 수 있는 전통 요리이다. 천 년 넘게 섭취되어 왔으며, 프랑스 국민 식단의 일부가 되었다.[2] 프랑스에서는 매년 약 4000ton의 개구리 다리가 소비된다.[7]

프랑스 요리의 조리 예


프랑스 요리 등에서 식재료로 사용되는 개구리는 유럽 원산의 유럽참개구리(''Rana'' kl. ''esculenta'')이다. 수컷의 몸길이는 6cm에서 11cm이며, 암컷은 5cm에서 9cm이다. 이 개구리는 유럽산애기청개구리(''Rana lessonae'')와 웃음개구리(''Rana ridibunda'')의 종간 잡종이다. 빙하기에 이 두 종의 원종 서식지가 분단된 이후 별도로 진화를 거쳤지만, 교배가 불가능할 정도로 분화하지는 않았다. 따라서 양쪽 종이 서식하고 있는 지역에는 유럽참개구리도 서식하고 있다. 그러나 유럽참개구리끼리의 교배에서는 배아가 정상적으로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유럽참개구리의 암컷은 원종과 교배하여 자손을 남긴다. 참고로 '유럽참개구리'라는 일본어 이름이 붙었지만, 일본의 참개구리와 특별히 근연 관계에 있는 것은 아니다.

2. 2. 중국

개구리는 요리에서 중국어로 ''tiánjī'' (田鸡, 문자 그대로 '밭 닭')라고 불린다. 개구리 다리(田雞腿|tiánjī tuǐ중국어)는 중국에서 먹지만, 일반적으로 광둥 요리, 쓰촨 요리와 같은 남중국 요리 전통으로 제한된다.[8] 황소개구리와 돼지 개구리는 쓰촨과 같은 중국의 일부 지역에서 대규모로 사육된다.[8]

중국 요리에서 개구리 다리는 보통 볶아지고 가벼운 향신료와 섞이거나, 끓이거나, 튀겨지거나, 또는 으로 만들어진다.

2. 3.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요리에서 개구리 다리 수프는 ''스위키''(swikee) 또는 스위케id로 알려져 있으며, 아마도 중국계 인도네시아인에 의해 전래되었으며 중국계 인도네시아 요리에서 인기가 있다.[9] 스위키id는 마늘, 생강, 발효 콩(''타우코'')의 강한 맛이 나는 개구리 다리 수프로, 샐러리나 파슬리 잎을 곁들인다. 스위키id는 중앙 자바주 푸르워다디 그로보간의 전형적인 요리이다. 개구리 다리는 마가린과 달콤한 간장 또는 토마토 소스에 튀기거나, 튀김옷을 입혀 튀기거나, 굽기도 한다. 개구리 알은 바나나 잎에 싸서 나오기도 한다(페페스 텔루르 코독id). 말린 바삭바삭한 튀긴 개구리 껍질은 ''크루푹'' 크래커로도 소비되며, 맛은 튀긴 생선 껍질과 비슷하다.[10]

인도네시아의 매운 마요네즈를 곁들인 튀긴 개구리 다리


인도네시아는 세계 최대의 개구리 고기 수출국으로, 매년 5000ton 이상의 개구리 고기를 프랑스, 벨기에, 룩셈부르크로 수출한다.[32] 서유럽의 개구리 다리 공급량은 대부분 인도네시아의 개구리 농장에서 나오지만, 인도네시아산 개구리 다리가 야생 개체군에서 밀렵되어 야생 양서류를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32]

2. 4. 이탈리아

피에몬테에서 빵가루를 입혀 튀긴 개구리 다리


개구리는 이탈리아 북부, 특히 피에몬테와 롬바르디아 전역에서 흔히 먹는 음식이며, 이 두 지역 내에서는 특히 피에몬테의 베르첼리 지역과 롬바르디아의 파비아 및 로멜리나 지역에서 많이 먹는다. 이 지역에서 개구리는 오래된 요리 전통의 일부이자 전형적인 주식이다.[11]

개구리가 많이 서식하는 것은 주로 이 지역의 전형적인 농업, 즉 농업 때문이다. 쌀을 대량 재배한다는 것은 재배 기간 동안 논에 물을 대는 데 사용되는 인공 수로가 많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개구리에게 완벽한 서식지를 제공한다. 밭이 물에 잠겨 있는 생육 기간 동안, 그리고 심지어 밭의 물을 빼는 동안에도 농부들과 다른 사람들은 종종 그물을 들고 개구리 사냥에 나선다.

개구리는 이 지역에서 요리적 중요성을 얻었으며, 많은 시골 마을에서는 개구리를 중심으로 한 축제(sagreit)를 개최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개구리를 조리한다. 이 축제는 일반적으로 쌀 수확 기간 동안 열린다. 개구리 소비는 쌀 생산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이탈리아 요리 리소토의 본고장이기 때문에 가장 흔한 요리 중 하나는 개구리 리소토(risotto alle raneit)이다. 다른 현지 개구리 요리로는 달걀 반죽에 담갔다가 빵가루를 입혀 튀기거나 수프나 스튜에 넣어 먹는 요리가 있다.

2. 5. 기타 국가

슬로베니아의 특선 요리, 레몬과 타르타르 소스를 곁들인 개구리 다리 ()


개구리 다리 (žabji kraki|자비 크라키sl)는 슬로베니아 동부 (프레크무르예와 북동부 슈타이어마르크)에서 슬로베니아 요리의 인기 요리이다. 류블랴나에서도 매우 인기가 있으며 "류블랴나의 전통적인 도시 요리의 기반"으로 여겨져 왔다.[12][13] 전통적으로 사순절 음식으로 여겨졌으며 특히 봄에 인기가 많았다.[12] 비파바 계곡에서도 인기 있는 전통 요리이며, 슬로베니아 리토랄의 수많은 레스토랑에서 제공된다.[13]

크로아티아 북서부 고르스키 코타르 지역, 로크베 시에서는 개구리 다리를 별미로 여기며, 끓이거나 튀기거나 스튜로 만들어 폴렌타를 곁들여 내기도 한다.

스페인 서부 에스트레마두라, 카스티야 이 레온에서는 개구리 다리를 튀겨서 제공하며, 현지인들 사이에서 별미로 여겨진다. 에브로 강 유역에서도 훌륭한 요리 재료로 사용된다.

알바니아식 튀긴 개구리 다리 요리, 라임과 함께 제공


알바니아에서는 개구리 다리를 별미로 여기며, 주로 야생에서 채집된다.[14]

그리스에서 개구리 다리는 이오안니나 시와 인근 팜보티다 호수와 관련이 깊다.

멕시코에서는 바하칼리포르니아, 치와와, 할리스코, 소노라, 타마울리파스, 베라크루스, 사카테카스 주와 중앙 고원 대부분 지역에서 개구리 다리를 포획한다. 거의 연중무휴로 포획이 이루어지며, 뒷다리는 튀김, 수프, 국, 또는 그린 소스와 같은 스튜로 소비된다.[15]

루마니아에서는 식용 개구리를 pui de baltă|푸이 데 발터ro ()라고 부르며, 빵가루를 입혀 튀겨 먹는다.[16]

우크라이나 오데사주의 빌코베는 튀긴 개구리 다리가 별미이지만,[17] 오데사에서도 인기를 얻고 있다.

개구리 다리는 미국 남부에서 인기 있는 고급 요리이자 전채 요리이며, 여기는 ''Pappadeaux Seafood Kitchen''이다.


개구리 다리는 미국 남부, 특히 딥 사우스와 프랑스의 영향을 더 많이 받은 걸프 주 (사우스캐롤라이나, 조지아, 플로리다, 앨라배마, 미시시피, 루이지애나)에서 먹는다. 다리는 거의 항상 튀김옷을 입혀 튀겨져 제공된다. 플로리다에서는 매년 1월 펠스미어 개구리 다리 축제가 이 요리를 기념한다.[18] 동부 주에서도 먹지만 흔하지는 않다. 클리블랜드의 리틀 이탈리아와 애시야타운 지역에서 특히 인기 있는 요리이다. 가장 흔하게 먹는 개구리 종류는 황소개구리와 표범개구리인데, 이들은 남부를 포함한 대부분의 미국 지역에서 흔하게 발견된다. 야생 개구리의 소비는 일반적으로 권장되지 않지만, 특히 미국 서부 지역에서는 침입종인 황소개구리의 수확과 요리가 통제 수단이자 지역 요리를 장려하는 형태로 권장되고 있다.[19]

조리법으로는 계란/크래커 부스러기로 빵가루를 입히거나 튀김옷을 입히는 방법 등이 있다. 튀기거나 구워서 조리한다. 튀긴 개구리 다리는 농업 박람회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너구리, 주머니쥐, 자고새, 들꿩, 그리고 개구리는 마크 트웨인이 미국 요리의 일부로 기록한 음식 중 하나였다.[20][21][22][23]

산 닭 (''Leptodactylus fallax'')은 몬트세랫도미니카 연방에서 식용으로 사용되는 개구리로, 현재 심각한 멸종 위기에 놓여있다.[24]

개구리 다리 뼈는 기원전 7596년에서 6250년 사이에 에임즈베리 윌트셔에서 발굴되었으며, 이는 지역 식단의 일부였음을 나타내는 증거이다. 일부는 이것이 영국인이 프랑스인보다 먼저 개구리 다리를 먹기 시작했다는 증거로 본다.[25] 그러나 수 세기 동안 개구리는 프랑스와의 역사적인 경쟁 때문에 영국인에게 혐오스러운 존재로 여겨졌다.[26] "Frog"(개구리)는 18세기 후반부터 프랑스인을 비하하는 영국 별명으로 사용되었다.[27] 19세기 후반에 프랑스 요리사 오귀스트 에스코피에는 런던의 식당에 개구리 다리를 팔려고 헛되이 시도하면서 개구리 다리의 이름을 "님프"로 바꾸려 했다.[1] 최근 수십 년 동안, 모험심이 강한 영국 셰프들은 개구리 다리 요리를 메뉴에 도입했는데, 특히 개구리 블랑망제 레시피를 포함한 헤스턴 블루멘탈이 대표적이다.[28]

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에서 개구리는 좀 더 이국적인 식재료로, 주로 아시아 또는 프랑스 레스토랑에서 소비되며, 뒷다리를 선호한다. 캐나다에서는 조금 더 흔하게 접할 수 있으며, 주로 동부 및 북동부 캐나다에서 소비된다.

프랑스 요리 등의 식재료로 사용되는 개구리는 유럽 원산의 유럽참개구리(''Rana'' kl. ''esculenta'')이다. 수컷의 몸길이는 6cm에서 11cm이며 암컷은 5cm에서 9cm이다. 이 개구리는 유럽산애기청개구리(''Rana lessonae'')와 웃음개구리(''Rana ridibunda'')의 종간 잡종이다. 빙하기에 이 두 종의 원종의 서식지가 분단된 이후 별도로 진화를 거쳤지만, 교배가 불가능할 정도로 분화하지는 않았다. 따라서 양쪽 종이 서식하고 있는 지역에는 유럽참개구리도 서식하고 있다. 그러나 유럽참개구리끼리의 교배에서는 배아가 정상적으로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유럽참개구리의 암컷은 원종과 교배하여 자손을 남긴다. 유럽참개구리라는 일본어 이름이지만, 일본의 참개구리와 특별히 근연 관계에 있는 것은 아니다.

일본에서는 식용 개구리라고 하면 황소개구리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1918년도쿄 제국 대학의 와타세 쇼자부로 교수에 의해 미국에서 식용으로 수입되었다. 1922년 (다이쇼 11년)에는 농무성으로부터 나가노현스와군에 식용 개구리의 시험 사육이 위탁되어 25마리가 지급[38]되었고, 그 후에도 각지에서 양식하게 되었지만, 일본에서는 개구리를 식용으로 하는 습관이 그다지 퍼지지 않았다.

황소개구리의 전체 길이는 10cm에서 20cm로 대형이다. 수컷의 울음소리는 소의 소리와 비슷하게 낮고 크게 멀리까지 울려 퍼진다. 번식기는 6-8월이며, 호수, 연못, 늪, 논, 하천의 물의 흐름이 약한 곳 등 수면이 넓고 물이 고인 곳에 살며, 가재, 곤충, 물고기 등을 먹는다. 앞서 언급한 양식되던 것들이 도망쳐 야생화되어 현재는 일본 각지에서 볼 수 있다. 또한 미국가재는 황소개구리의 양식용 식량으로 수입되었지만, 이것도 황소개구리와 마찬가지로 양식되던 것들이 도망쳐 야생화되어 일본 각지로 분포를 넓히고 있다.

1980년대대한민국이 식용으로 일본에서 황소개구리를 도입했지만, 도망친 황소개구리가 야생화되어 국내에 대량 발생하여, 한국의 생태계를 위협하는 문제가 되고 있다.

중국에서 인도네시아에 걸친 지역에서는 황소개구리 ''Rama tigerina'', 논개구리 ''Rana limnocharis'' 등이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황소개구리는 남획으로 인해 자원이 감소한 지역도 있어, 1985년에 CITES 부속서 II류에 게재되었다. 또한 중국에서는 국가 2급 보호 동물로 지정되어 있다. 중국 남부, 태국 등에서는 양식도 활발하다.

다른 식재료와 마찬가지로 개구리도 수요에 따라 국제 상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프랑스에서는 유럽 맹꽁이의 감소에 따라 그 대체재로 황소개구리, 황소개구리, 인도왕개구리 등을 수입하고 있다. 1970년대, 1980년대에는 추산으로 연간 약 6000만 마리의 개구리가 프랑스로 수입되었다고 한다.

손가락개구리과에 속하는 남방황소개구리가 식용으로 사용된다. 맛은 닭고기와 비슷하여 "마운틴 치킨"이라는 별명이 있다.

일본서기에 따르면, 요시노쿠스 사람들은 "개구리(かえる)"를 삶은 것을 "모미(毛瀰)"라고 부르며 먹었다고 한다. 이 "모미"가 매우 맛있었기 때문에, 간사이에서는 "모미나이(毛瀰でない)"라는 말을 "맛없다"는 뜻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현대에는 개구리를 "가마"라고 읽고, 두꺼비 (두꺼비과)에 사용하지만, 이 "모미"는 붉은개구리라는 이설이 있다.

가이바라 에키켄의 『야마토 본초』에도 또한, "본방에서도 옛날에는 요시노의 강토, 쿠스라는 마을"에서 개구리를 먹었다고 기록되어 있지만, 『야마토 본초』에는 개구리와 두꺼비가 별개의 항목으로 실려 있으며, 이 역시 붉은개구리 설이 제창되고 있다.

오키나와에서는 옛날부터 나미에 개구리 ''Limnonectes namiyei''를 식용으로 하는 습관이 있었지만, 현재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식용으로는 사용되지 않는다.

3. 논란

인도에서는 개구리 다리 수출로 개구리가 사라지자 농작물의 병해충 피해와 말라리아, 뇌염 등 질병 문제가 심해져 1987년에 수출을 중단했다.[39] 방글라데시에서도 1989~1992년 사이 잠정적으로 수출을 중단했다.[39] 인도네시아는 1989년 1000만달러어치의 개구리 다리를 수출했으나, 3000만달러어치의 살충제를 추가로 수입해야 했다.[39]

3. 1. 환경 문제

인도에서는 개구리 다리 수출로 개구리가 사라지자 농작물 병해충 피해와 말라리아, 뇌염 같은 질병 문제가 심각해져 1987년에 수출을 중단했다.[39] 방글라데시도 1989~1992년 사이에 잠정적으로 수출을 중단했다.[39] 인도네시아는 1989년에 1000만달러어치의 개구리 다리를 수출했지만, 3000만달러어치의 살충제를 추가로 수입해야 했다.[39]

많은 환경 운동가들은 양서류 개체수 감소와 개구리가 생태계의 필수 요소이기 때문에, 특히 야생에서 채취된 개구리 소비를 제한할 것을 촉구한다. 환경 보호론자들은 개구리에 대한 미식적 수요가 지역 개체수를 심각하게 고갈시키고 있다고 경고한다.[32] 개구리는 환경 변화, 질병, 서식지 파괴, 오염에 민감하다.

황소개구리가 고유종이 아니고 도입된 경우에는 예외이다. 이러한 생태계에서 황소개구리는 지역 양서류 개체수를 감소시키고, 생태계 균형을 무너뜨리며, 다른 야생 동물 종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2011년 논문에서는 다리를 산 채로 제거하는 방법과 사냥 방법과 같은 동물 복지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며, 생산 국가가 "산 개구리의 포획, 취급, 포장 및 수출과 사냥, 취급, 동물 도살, 식용 개구리 가공에 대한 인도적인 기준을 정하여 동물 고통을 최소화할 것"을 권고했다.[33]

1980년대대한민국이 식용으로 일본에서 황소개구리를 도입했지만, 도망친 황소개구리가 야생화되어 국내에 대량 발생하여, 한국의 생태계를 위협하는 문제가 되고 있다.

3. 2. 동물 복지

많은 환경 운동가들은 양서류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고 개구리가 생태계의 필수 요소이기 때문에, 특히 야생에서 채취된 개구리 소비를 제한할 것을 촉구한다. 환경 보호론자들은 개구리에 대한 미식적 수요가 지역 개체수를 심각하게 고갈시키고 있다고 경고한다.[32] 개구리는 환경 변화, 질병, 서식지 파괴, 오염에 민감하다.

이와 다른 예외는 아메리카 황소개구리가 고유종이 아니고 도입된 경우이다. 이러한 생태계에서 아메리카 황소개구리는 지역 양서류 개체수를 감소시키고, 생태계 균형을 무너뜨리며, 다른 야생 동물 종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2011년 논문에서는 다리를 산 채로 제거하는 방법과 사냥 방법과 같은 동물 복지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며, 생산 국가가 "산 개구리의 포획, 취급, 포장 및 수출과 사냥, 취급, 동물 도살, 식용 개구리 가공에 대한 인도적인 기준을 정하여 동물 고통을 최소화할 것"을 권고했다.[33]

3. 3. 건강 문제

인도에서는 개구리 다리 수출로 개구리가 사라지자 농작물의 병해충 피해와 말라리아, 뇌염 등 질병 문제가 심해져 1987년 수출을 중단한 바 있다.[39] 방글라데시에서도 1989~1992년 사이 잠정적으로 수출을 중단했다.[39] 인도네시아는 1989년 1000만달러어치의 개구리 다리를 수출하였으나, 3000만달러어치 살충제를 추가로 수입해야 했다.[39]

살아있거나 냉동되지 않은, 껍질을 벗기지 않은 양서류의 이동은 치명적인 양서류 질병, 예를 들어 ''발톱곰팡이''(Batrachochytrium dendrobatidis)와 라나바이러스가 전 세계로 퍼져나가는 잠재적인 경로가 될 수 있으며, 세계동물보건기구가 국제적인 유행성 질병 확산을 규제하는 질병 확산 방지 권고에도 불구하고,[30] 이러한 권고를 법으로 채택한 국가는 거의 없다.

캐나다에서는 신선하거나 냉동된 개구리 다리의 판매가 살모넬라속의 박테리아가 없다고 MFO-10, 개구리 다리의 미생물 검사라는 공식적인 방법에 따라 결정되지 않는 한 불법이다.[31]

4. 종교적 관점

유대교이슬람교에서는 특정 율법에 따라 개구리 다리를 먹는 것을 금지하거나 제한한다. 유대교에서는 개구리 다리가 코셔가 아니며, 살아있는 개구리에서 떼어낸 다리를 먹는 것은 모든 사람에게 죄로 간주된다. 이슬람교에서는 일부 학파에서 개구리 고기를 ''하라람''으로 간주하여 섭취를 금지한다.[34]

중세근세 유럽에서는 개구리가 고기로 분류되지 않아 사순절 기간 동안 생선 및 조류 고기와 함께 먹을 수 있었다. 로렌수도사들은 13세기에 사순절 동안 개구리를 먹었다고 기록되었으며,[36] 19세기 초 프랑스에서는 개구리가 Alouettes de Carême프랑스어 (사순절 종달새)로 알려졌다.[37]

4. 1. 유대교

유대교 율법에 따르면 모든 파충류양서류는 부정한 동물로 간주된다. 따라서 개구리 다리는 코셔가 아니며, 정통 유대교를 따르는 유대인들은 개구리 다리를 먹는 것을 금지한다. 그러나 개혁 유대교와 같은 더 진보적인 유대교 분파에서는 코셔하지 않은 동물을 먹는 것을 금지하지 않는다. 전통 유대교는 노아 법으로 알려진, 유대교 율법에 따라 비유대인에게도 죄로 간주되는 활동을 규정하는 보편적인 율법을 포함한다. 이 범주에 따르면, 로 알려진 살아있는 동물로부터 떼어낸 사지를 먹는 것이 금지되어 있다. 따라서 유대교 율법은 살아있는 개구리에서 떼어낸 개구리 다리를 먹는 것을 모든 사람에게 죄로 간주한다. 이는 또한 자유주의 유대교 분파가 전통 유대교가 금지하는 것처럼 금지하는 동물 학대 금지 조항에 해당한다.[34]

4. 2. 이슬람교

일부 이슬람 율법에 따르면 개구리 고기는 ''하라람''(비 ''할랄'')으로 간주된다. 이를 ''하라람''으로 간주하는 사람들은 개구리, 개미, 꿀벌 및 바닷새를 죽이는 것을 금지하는 하디스를 인용한다. 이 ''하라람'' 지위는 인도네시아 데막에서 논란을 일으켰는데, 당국은 (개구리 다리 수프) 식당 주인들에게 swikeeid를 데막과 연관시키지 말 것을 촉구했다. 이는 자바 최초의 이슬람 도시로서 데막의 이미지를 훼손할 수 있으며, 주로 개구리 섭취를 금지하는 샤피이 학파를 따르는 주민들의 반대에 직면했기 때문이다.[34] 샤피이 학파, 하나피 학파, 한발리 학파는 개구리 섭취를 엄격히 금지하지만, 말리키 학파에서는 모든 개구리 섭취를 할랄로 간주하는 것에서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논란의 여지가 있는 것은 논밭에서 흔히 발견되는 녹색 개구리만을 할랄로 간주하는 것이다.[35] 반면에 다른 종, 특히 물집 피부를 가진 것은 부정한 것으로 간주된다.

참조

[1] 웹사이트 Who Was First To Enjoy Frog Legs, France Or England? https://www.npr.org/[...] 2013-10-17
[2] 웹사이트 How Frog Legs Came To Be Synonymous With French Cuisine https://www.foodbeas[...] 2020-01-18
[3] 웹사이트 Frog legs, raw Nutrition Facts & Calories https://nutritiondat[...] 2019-04-20
[4] 웹사이트 Exotic Meats USA : What Things Taste Like http://www.exoticmea[...] 2008-07-17
[5] 웹사이트 Frog legs - Ingredient http://www.chow.com/[...] 2008-07-17
[6] 웹사이트 Strange Meats: Frog Legs http://unvegan.com/s[...] 2011-10-29
[7] 웹사이트 Why we shouldn't eat frogs' legs https://www.theguard[...] 2009-08-06
[8] 웹사이트 Court receives warning letter from local authorities in frog compensation case {{!}} Laodanwei.org https://laodanwei.or[...] 2024-01-11
[9] 웹사이트 Swike Masak Taoco https://lifestyle.ok[...] 2014-01-29
[10] 웹사이트 Setahun 500 Ton Kodok Hijau Diekspor, Rp 72 Ribu per Kilo http://www.jpnn.com/[...] 2015-01-12
[11] 웹사이트 Weird Italian Dishes https://www.lifeinit[...] 2018-08-30
[12] 웹사이트 Žabe svatbo so imele http://web.vecer.com[...] 2019-04-20
[13] 웹사이트 Okusiti Slovenijo http://issuu.com/slo[...]
[14] 간행물 Albania: The Bradt Travel Guide 2004
[15] 서적 Waters with Achilles! Recipes with fish & Co. Ediciones Larousse 2018
[16] 웹사이트 dexonline https://dexonline.ro[...] 2019-04-20
[17] 웹사이트 Frog legs, brynza, and dunaika: what to try in the Ukrainian town of Vylkove https://shuba.life/a[...] 2023-09-02
[18] 뉴스 In case you missed it: Visuals from Fellsmere's Frog Leg Festival 2024. https://www.tcpalm.c[...] Treasure Coast Newspapers 2024-01-23
[19] 웹사이트 Bullfrog http://eattheinvader[...] 2024-01-11
[20] 서적 The Writings of Mark Twain [pseud.].: A tramp abroad https://books.google[...] Harper & Bros.
[21] 서적 Mark Twain's Helpful Hints for Good Living: A Handbook for the Damned Human Rac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4-10-18
[22] 서적 Mark Twain's Library of Humor https://books.google[...] Charles L. Webster & Company
[23] 서적 Cooking Plain, Illinois Country Style https://books.google[...] SIU Press 2011-12-02
[24] 웹사이트 AmphibiaWeb - Leptodactylus fallax https://amphibiaweb.[...] University of California 2024-04-28
[25] 뉴스 Zut alors! Archaeologists uncover 'Heston Blumenthal-style' feast at 8,000-year-old dig site that proves Brits were the first to eat frogs' legs - not the French https://www.independ[...] 2013-10-16
[26]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Food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27]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English: Third Edi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28] 서적 A Visual History of Cookery https://books.google[...] Black Dog Publishing 2010
[29] 웹사이트 Is the international frog legs trade a potential vector for deadly amphibian pathogens? http://savethefrogs.[...] 2010-05-11
[30] 웹사이트 OIE Aquatic Animal Health Code http://www.oie.int/f[...] 2010-05-11
[31] 웹사이트 Consolidated federal laws of canada, Food and Drug Regulations http://laws.justice.[...] 2017-07-14
[32] 웹사이트 Appetite For Frogs' Legs Harming Wild Populations https://abcnews.go.c[...] 2009-04-16
[33] 웹사이트 Canapés to Extinction: the international trade in frogs' legs and its ecological impact https://defenders.or[...] 2011
[34] 웹사이트 Tempo Online Bupati vs Kodok http://majalah.tempo[...] 2011-09-11
[35] 웹사이트 Konsultasi Syariah - Akhowat KPII: haramkah kepiting, swike & ikan hiu dimakan? http://konsultasisya[...] 2019-04-20
[36] 서적 They Eat That?: A Cultural Encyclopedia of Weird and Exotic Food from around the World https://books.google[...] ABC-CLIO 2012
[37] 웹사이트 Frogs (fish and seafood) https://www.allmyche[...] 2018-02-19
[38] 서적 環境史年表 明治・大正編(1868-1926) 河出書房新社 2003-11-30
[39] 뉴스 지구 축소판 ‘인공지구’ 실험 2년도 못 넘겨 http://www.hani.co.k[...] 한겨레 2009-09-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